성이란 무엇인가? 청소년 성교육을 위해서는 우선 성에 대한 이해가 되어야 한다. 성에 대해서 생각이나 느낌은 각 개인의 경험이나 관심 지식 사회적 환경 등 성장 베 이스에 따라서 각각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성이란 동양과 서양에서는 어떻게 개념을 정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성에 대한 가치관 정립이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돕도록 해야 한다.
1. 질풍노도(疾風怒濤)의 시기
‘이유 없는 반항’이라는 영화를 본 적 있는가? 이 영화는 1950년대에 미국 청소년의 모습을 그린 역작이다. 여기에서 치킨런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치킨런이라는 것은 자동차를 몰고 절벽을 향해 질주하다 먼저 멈추는 사람이 지는 내기를 하는 경기를 말한다.
이런 경기는 흔히 말하는 간이 외투 밖으로 나오지 않은 이상은 아무나 할 수 없다. 영화 제목처럼 청소년 시기를 미국의 심리학자인 스탠리홀 이라는 사람은 질풍노도(疾風怒濤)의 시기로 표현을 하고 있다. 질풍노도(疾風怒濤)란 한자와 같이 거친 바람과 성난 파도처럼 심리적 변화가 심하고 불안정한 시기를 뜻한다. 특히 성적으로는 급격한 신체적인 변화와 호르몬 변화로 왕성한 성적인 호기심과 성 욕구를 느끼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에 청소년 성교육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2. 동양에서의 성(性)에 대한 개념
동양에서는 성에 대한 개념 정의를 어떻게 하고 있을까? 한자의 生(나다. 태어나다)+心을 합한 것으로서 몸과 마음의 결합을 말한다. 여기서 몸이라고 하 는 것은 남녀의 성별에 따른 생물학적인 특성을 포함한 전체적인 신체를 말하고, 마음은 우리의 생각, 느낌, 감정, 태도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성이란 단순한 쾌 락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몸과 마음이 결합된 인간 전체를 의미하는 전인적인 인간이라고 할 수 있다.
3. 성양에서의 (성性)에 대한 개념
서양에서는 어떻게 정의를 하고 있을까? 표현의 형식은 다르지만 의미는 같다고 볼 수 있다. 서양에서는 성의 개념 정의를 섹스(Sex), 젠더(Gender), 섹슈얼리티(Sexuality)로 나누어서 정의하고 있다.
▶ 섹스(Sex)
섹스(Sex)는 두 가지의 의미를 지닌다. 첫 번째 의미는 생물학적인 성 즉 타고난 성을 말한다. 동양에서 말하는 몸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섹스(Sex)의 두 번째 의미는 성관계를 말한다. 성관계 역시 생물학적인 성에 포함이 된다.
왜 그럴까? 성 욕구나 성관계는 사회문화적으로 학습을 하거나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본능적으로 타고난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학생들이나 성인들은 섹스(Sex)라고 하면 첫 번째 의미보다는 두 번째 의미를 먼저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성에 대해 언급하면 왠지 민망하고 쑥스럽고 불편하게 느껴지는 것은 성이란 생명과 생존에 관한 존엄한 인격체의 전 인적인 인간과 관련 있다고 보기보다는 단순한 생식기 중심의 성관계적인 쾌락으 로만 생각하고 가볍게 여기기 때문이다.
▶ 젠더(Gender)
젠더는 어떤 의미일까? 젠더는 사회문화적인 성 후천적인 성 학습되고 만들어진 성이다. 예를 들면 성별을 구별할 때 신생아의 경우에는 생식기를 보고 구별하게 된다. 하지만 성인의 경우에는 어떤 방법으로 성별을 구별할까? 성인의 경우는 사회문화적으로 학습되고 만들어진 성 즉 외모, 행동, 태도, 직업, 역할 등으로 구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헤어스타일, 옷차림, 몸매, 근육, 화장 등의 외모와 그리고 씩씩하고 용감하다. 조신하다. 얌전하다. 또는 목소리 음 성 등이 부드럽다 굵다. 등의 행동과 태도 또는 간호사, 의사, 군인, 가사, 직장 등 직업과 성 역할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서 구별을 하게 된다.
이러한 예는 사회문화적으로 남성 여성에 대한 성 역할을 사회적으로 요구받고 학 습되어 만들어진 성이지 태어날 때부터 여성이라고 해서 화장을 하거나 얌전하게 태어나지 않았다. 남성 역시도 근육을 가진 몸으로 용기 있게 태이난 것은 아니 다. 그리고 누구는 의사, 누구는 장군, 누구는 가사전담 등 지위나 계급을 달고 태 어난 것도 아니다. 이처럼 젠더는 사회문화적으로 학습되고 만들어진 성이 되겠다.
▶ 섹슈얼리티(Sexuality)
그리고 섹슈얼리티(Sexuality)라고 하는 것은 섹스(Sex)와 젠더(Gender)뿐만 아 니라 성(性)에 대한 생각, 느낌, 감정, 가치관, 문화 등등을 포함하는 아주 포괄적인 의미이다. 이것은 동양에서 말하는 몸과 마음의 결합인 인간 전체 즉 전인적인 인간을 말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따라서 성이란 단순히 쾌락이나 성관계만을 의미하지 않고 아주 포괄적이고 성스럽고 존엄한 것으로서 매우 자연스러운 것임 을 인식해야 한다. 성에 대해서 불편함을 느끼거나 재미로 생각하는 것은 성이란 단순하고 단편적인 생식기 중심의 쾌락으로 이해하거나 성에 대해 가볍게 생각하 고 있기 때문이다.
성폭력이 발생하는 것도 성을 너무 쾌락 중심으로 가볍게 생각하기 때문이기도 하 다. 이러한 성폭력은 고귀하고 성스러운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문제 행위로서 인권을 침해하는 범죄행위이다.
오늘은 청소년성교육을 위해 성이란 무엇인가? 동양과 서양에서의 성에 대한 개념정의에 대하여 포스팅 해 보았다. 성에 대해 왜곡되고 가벼운 인식은 성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폭력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지 감수성 (0) | 2024.07.24 |
---|---|
젠더기반 폭력이란? (0) | 2024.07.21 |
안전하고 건강한 교육환경 (0) | 2024.07.02 |
의대생 데이트폭력 여자친구 살해 (0) | 2024.05.25 |
사이버폭력의 유형 (0) | 2023.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