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우리나라 #합계출산율변화 #출산장려정책 #지역별합계출산율 #대구 #오이시디국가 #oecd국가 #정책수립 #인구구조 #인구감소 #방향성1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의 변화와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 1960년대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6.0명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출산율이 급격하게 증가를 하였는데 이때 태어난 세대를 베이비붐세대라고 한다. 급격한 출산율의 증가는 경제성장에 걸림들이 된다 하여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함께 출산억제정책이 병행추진 되었다. 따라서 출산율이 점점 떨어지기 시작하여 저출산이 20여 년간 지속되면서 1970년에는 4.53명으로 떨어졌고 1983년에는 2.08명으로 인구대체 수준(2.1)에 도달한 후 약 10여 년간은 1.6명 수준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1997년 IMF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청년실업자가 대거 생겨나고 소득고용불안정으로 인해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하여 2001년에는 초저출산사회(1.3)로 진입을 하게 되었고 2005년에.. 2024. 8. 12. 이전 1 다음